뇌절 뜻, 유래, 예시 알아보기 [신조어 정리하는 아재]

‘뇌절’ 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특정한 심리나 상황에 대한 신조어인데요. 추측이 되시나요? 모르면 아저씨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뇌절 뜻과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뇌절 뜻, 유래, 예시 등 정리

뇌절 뜻은 무엇일까? 뇌절의 예시?

‘뇌절’이라는 말은 2가지 뜻을 갖고 있는데요.

① 똑같은 말이나 행동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경우, 그러한 경우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질린다 등)을 내포함.

② 뇌의 회로가 정지된다는 말로 뇌 정지와 같은 의미로 쓰임.

먼저 ‘뇌절’이라는 단어는 처음에 ①번의 의미로 많이 쓰였는데요. 계속해서 똑같은 말이나 행동을 하면 “1절만 해.”라는 말을 하듯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1절, 2절, 명절에 큰 절, 카카시 뇌절까지 하네’라는 문구가 유명해지면서 신조어로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똑같은 말이나 행동을 계속 하는 걸 지칭하면서 그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질리는 듯한 뜻을 내포하면서 쓰이게 된 것이죠.

예를 들어, 공부하라는 잔소리를 한, 두 번 들었는데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 번 공부하라는 말을 지속적으로 듣는다면 ‘오늘은 공부로 뇌절 당함.’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겠죠.

그러다 뇌절이 ②번의 의미로 또한 확장되어 사용하기 시작했는데요. 2번의 뜻은 말 그대로 뇌가 정지 되었다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상대방이나 상황 등이 어처구니 없을 때 사고가 정지 된 것 같다는 의미로 ‘뇌절’이 사용되게 되었죠.

예를 들어, 길 가다가 곰을 만났다고 생각한다면 너무 당황스러워서 뇌 정지가 올 수도 있겠죠? 그럴 때 ‘나 오늘 곰 보고 뇌절 옴.’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뇌절의 유래는?

나루토 뇌절 유래

‘뇌절’이라는 말은 ‘나루토’라는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유래하였는데요. ‘나루토’에 나오는 캐릭터 중 ‘카카시’라는 캐릭터가 있는데 그 캐릭터가 번개를 끊어내는 기술인 ‘뇌절’이라는 기술을 갖고 있는데요.

그런데 만화 초반부터 후반까지 주구장창 ‘뇌절’ 기술을 쓰다 보니 만화를 보던 사람들이 ‘뇌절’ 좀 그만 써라. 또 ‘뇌절’까지 친다 라는 말이 유행하게 되었고 지금의 ‘뇌절’의 의미로 확장 되었습니다.

앞서 설명했던 ‘1절, 2절, 명절에 큰 절, 카카시 뇌절까지 하네’라는 말이 이제 이해가 되시죠?

이상으로 ‘뇌절’의 뜻, 유래, 예시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마치는 말을 계속해서 반복하면 제가 ‘뇌절’을 하는 격이니 이 참에서 글을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이 외에도 다른 신조어가 궁금하신 분들은 신조어 링크를 참고주시기 바랍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 수 65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