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기간 등 총정리

청년도약계좌 상품이 6월 15일부터 출시되었습니다. 내 집 마련, 결혼, 목돈, 투자금 등 돈 모으기 위해 고군분투하시는 많은 청년분들, 최대 연 6% 금리에, 정부 지원금까지 제공 받는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 기간, 방법 등에 대해 총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기간 등 총정리

청년도약계좌 혜택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무엇인지가 가장 중요하겠죠? 가입 시 얻어갈 수 있는 혜택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저축이 가능 (의무 납입이 없다!)

② 저축금에 대해 최소 연 3.8% ~ 최대 연 7%까지의 이자 적용 (은행별로 상이)

③ 저축금에 대해 매월 최소 21,000원 ~ 최대 24,000원까지의 정부 지원금 (이자뿐만 아니라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돈!)

④ 이자소득 및 정부기여금에서 발생한 이자소득까지 비과세 (보통 적금 상품의 이자소득 과세율은 9~15% 정도!)

⑤ 정리하면,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납부하면 5,000만 원 정도로 돈이 불어난다. (원금의 약 20% 정도의 이득!)

일단 핵심 혜택만 정리해 드렸고, 2번에 대한 이자 부분 및 3번 정부지원금 등은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알아보기

혜택이 꽤 괜찮은 청년도약계좌, 내가 가입조건이 되는지 알아봐야겠죠?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요건 2가지를 모두 만족해야 함 

개인소득 : 신청 전년도(22년 1~12월)의 총급여가 7,5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 신청자를 포함한 *가구원 소득의 합이 중위소득 180% 이하

보건복지부 고시 중위소득

* 가구원은 주민등록등본 상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 형제·자매가 해당

※ 총급여가 6,000만원 이하인 경우 : 정부지원금 + 은행이자 +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이 가능

   총급여가 6,000만원 초과 ~ 7,500만 원 이하인 경우 : 은행이자 +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이 가능 (정부지원금은 없음)

② 1번의 조건을 만족한 만 19~34세 청년(계좌 개설일 기준), 군 복무한 경우 군 복무 기간은 나이 계산에서 제외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및 방법 알아보기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및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 기간 : 8월 1일 ~ 8월 11일

신청 방법 : 해당 은행 어플(App)을 통한 비대면 신청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 9월 이후의 신청 일정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자세히 알아보기 (은행별 이자율 비교)

맨 처음에 알려드렸던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저축금에 대한 은행별 이자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이자 비교

위의 사진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은행별 금리 표입니다. 기본금리 최소 3.8%를 시작으로 각 은행마다 은행별 우대금리 및 소득 우대금리가 있으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신한, 우리, 하나 등이 최대 7%까지 받을 수 있는 것 같네요. 3년간은 고정금리, 4~5년 차는 변동금리로 적용된다 합니다. 위의 내용은 은행마다 바뀔 수도 있기 때문에 해당 은행에 꼭 문의해 보시길 바랍니다. 

위의 사항은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저축금에 대한 정부 지원금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

총급여나 종합소득을 기준으로 본인이 최대로 납입한 70만 원에 대해서 월 2.1만 원 ~ 2.4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 사이트 및 기타 사항

※ 은행앱을 통해 신청하면 개인소득 및 가구소득 요건에 대해서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비대면으로 확인하며, 필요시 연락을 통해 추가서류를 요구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가입이 가능하다고 안내받은 경우(가입신청은 복수 은행에서 가능), 1개 은행을 선택하여 계좌개설이 가능합니다.

위와 관련된 사항은 금융위원회 블로그의 내용을 일부 참조 및 발췌하였으며,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청년이라면 청년에게 좋은 정책이나 제도를 잘 찾아보고 꼭 혜택을 누리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 수 111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