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단기 강수 예측과 홍수위험 지도로 폭우 대비 하기

여름이 다가오면서 장마로 많은 비가 오고 있습니다. 최근 이상기후 현상으로 국지성 폭우 등도 번번해지면서 수해의 위험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요. 정부에서 제공하는 초단기 강수 예측 시스템과 홍수위험 지도를 통하여 미리 폭우를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초단기-강수-예측-활용하기

내가 사는 곳, 내가 지나는 곳은 홍수위험 지역일까?

먼저 호우, 폭우,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일기예보부터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다음으로는 내가 사는 곳, 혹은 내가 지나는 곳이 홍수위험 지역인지를 파악하여, 해당이 된다면 고지대로 간다거나, 호우대비 시설을 설치한다거나, 피난시설 등이 있는지 알아보거나 해서 대책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먼저 날씨 뉴스나 기상청 홈페이지에 들어가 호우나 태풍 관련 특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기상청 홈페이지 화면

비가 많이 올 것으로 예상 시, 기상청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창 오른쪽 위쪽에 전국특보 발효 중이라 하여 전체적인 특보를 알려주는데요. 물론 특보가 있다면 홈페이지 들어가자마자 팝업으로 특보 사항을 알려줍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호우주의보 호우경보 등 호우와 관련된 특보가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고, 확인했다면 내가 사는 곳, 혹은 내가 지나가는 곳이 해당하는지를 확인합니다.

해당이 된다면 홍수위험 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내가 사는 곳, 내가 지나가는 곳이 홍수 발생 시 대략 어느 정도 침수가 되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위의 홍수위험 정보시스템 홈페이지로 들어오면 아래와 같은 안내가 나옵니다. 도시침수지도가 나오는데요. 도시침수지도는 극단적인 폭우 상황 시 배수시설이 고장 났다는 가정하에 지도에 표시된 지역이 대략 몇 미터까지 침수되는 지를 알려주는 지도입니다.

도시침수지도 사진

작년(2022년) 침수로 안타깝게 목숨을 잃기도 했던 강남역 부근인, 서울 서초구 서초동을 예로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행정구역에서 시도를 서울특별시로, 시군구는 서초구로 한 뒤, 읍면동을 서초동으로 하여 이동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서초동 지도가 나옵니다. 그리고 오른쪽 아래쪽에 빈도별 조회를 100년 빈도로 설정해 줍니다. 

도시침도 사진 사례

이제 위의 지도를 해석해 보겠습니다. 보라색 지역은 극단적인 폭우가 왔을 때 수심이 2.0M~5.0M까지 될 수 있다는 안내입니다. 그리고 하늘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마찬가지로 극단적 폭우 시 수심이 1.0M~2.0M까지 될 수 있다는 것이고, 초록색(연두색)도 마찬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우경보나 호우주의보 등 비가 많이 온다는 예보가 있다면 최소한 하늘색, 보라색, 빨간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피해야 합니다.

다만 위의 도로침수지도가 국내 모든 지역을 안내하지는 않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초단기 강수 예측으로 더 정밀하게 비를 대비하자!

위와 같이 침수 위험지역을 확인했다면 최대한 위험지역은 조심하고 이와 더불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초단기 강수 예측 시스템을 활용하면 더 정밀하게 폭우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최근 이상기후 현상으로 짧은 시간 안에 매우 국지적(적은 범위)으로 오는 폭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인 예보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위의 홈페이지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재생 버튼이 보이는데 재생 버튼을 누르면, 현재 시각으로부터 이후 6시간까지, 10분 간격으로 강수 예측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초단기 강수 예측 서비스

위의 초단기 강수 예측 서비스를 통해 더욱 세세하게 강수를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홍수나, 침수가 염려되는 분들은 함께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폭우나 호우, 홍수로 인한 피해가 없기를 바라면서, 호우 대비를 위한 초단기 강수 예측 및 홍수위험 지도에 대한 소개를 마칩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 수 111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