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러문항 예시로 본 수능 킬러문항의 기준

수능 킬러문항으로 말이 많습니다. 변별력을 넘어 너무 어려운 문항인 킬러문항은 앞으로 수능에서 배제하겠다는 것이 교육부의 방침인데요. 킬러문항의 기준이 모호하긴 하지만 교육부에서 예시로 들어준 킬러문항 문제의 특징을 정리하면서 그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킬러문항 사례 표

킬러문항이란? 킬러문항의 뜻에 대해서

윤석열 대통령과 교육부에서 말하는 킬러문항이란 무엇일까요? 한 학원의 대표는 정답률이 10% 안쪽인 문제를 킬러문항이라고 말하기도 했는데요. 이번 교육부에서 발표한 킬러문항 26개의 예시를 보면 단순히 정답률이 낮은 문항을 말하는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자료에서 보듯 킬러문항으로 선정한 26개에는 정답률이 30%가 넘는 문제도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킬러문항으로 볼 수 있는 기준, 즉 킬러문항은 어떠한 것인지 정의 내려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교 교육과정을 뛰어넘은 문제
  2. 고교 교육과정에서 풀 수 있더라도 대학 등의 과정에서 다르게 풀 수 있는 문제
  3. 특정 선택과목을 선택한 사람에게 유리한 문제
  4. 이전 교육과정에는 다루었으나 현 교육과정에는 없는 문제

대략 4가지의 기준으로 정의 내릴 수 있겠습니다. 이와 더불어 과목 별로 좀 더 세세하게 킬러 문항의 기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과목별 킬러문항의 기준 (교육부 예시를 통한 기준 정리)

수학

  1. 수학의 개념을 지나치게 결합하여 낸 문제 (3가지 이상의 결합을 예시로 들었음)
  2. 문제를 풀 때 선택 과목의 방법이 아닌, 다른 과목의 방법으로 풀 수 있는 문제 (해당 문제는 미적분이 아닌 방법으로 푸는 것을 의도하였으나 미적분을 선택한 학생은 미적분으로도 풀 수 있는 문제)
  3. 풀이에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
  4. 대학에서 배우는 개념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

국어

  1. 인문(철학), 경제 분야의 전문 용어를 다수 사용하고 문장이 추상적인 문제
  2. 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시간이 들고 높은 수준의 추론이 필요한 문제
  3. 과학, 수학적 분야의 내용으로 독해력보다는 배경지식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
  4. 지문 분량은 적으나 충분한 정보가 없어 추론의 난이도가 높은 문제

영어

  1. 철학 등 추상적인 개념이 포함되어 이를 추론해야 하는 문제
  2. 공교육에서 다루는 수준보다 어려운 어휘 및 복잡한 구조가 사용된 문제
  3. 법률 분야 등 전문적인 어휘를 알아야 글 전체를 이해할 수 있는 문제
  4. 문장의 의미 흐름보다는 단어나 단서 등을 활용한 기법으로 더 쉽게 풀 수 있는 문제

과학

  1. 복잡한 추론과 계산을 요구하여 풀이 시간이 긴 문제
  2. 지구과학 문제이나 수학적인 요소가 들어가 있어 다른 과목의 학습이 문제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

위의 킬러 문항의 기준은 최근 6월에 발표한 교육부의 킬러문항 예시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교육부가 제시한 킬러문항 26개에 대해서 각각의 문제와 선정 근거를 자세히 보시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사실 이번 교육부의 예시 26문항을 가지고 이런 문제는 안 나오겠다는 명확한 기준을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느 정도가 복잡하고 지나치게 추론적인지 정확한 기준을 말하는 것은 결국 어렵기 때문인데요. 차후 9월에 시행될 모의평가가 앞으로의 수능 및 킬러문항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것 같습니다.

수능으로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이 포스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라면서 수능 꾸준하게 준비해 나가길 기원하겠습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 수 115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