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터족 뜻, 유래, 예시 알아보기 [신조어 정리하는 아재]

‘프리터족’ 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특정한 행동이나, 삶의 방식 등과 관련된 말인데요. 추측이 되시나요? 모르면 아저씨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리터족 뜻과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리터족 뜻 예시 등 정리

프리터족 뜻은 무엇일까? 프리터족의 예시?

‘프리터족’이라는 단어는 영어의 ‘Free’와 독일어의 ‘Arbeiter’가 합쳐져 생긴 말로 ‘정규직 직장을 갖지 않고 아르바이트나 파트타임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청년층’이라는 뜻을 갖고 있는데요.

그야 말로 자유롭게 일하되 주로 아르바이트나 임시적인 일을 하는 사람을 뜻하는데, 과거에는 프리터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으나,

최근에 와서는 프리터를 통해서도 충분한 소득을 얻거나 경험을 쌓고, 적성에 맞는 일을 하는 경우 등의 사례가 늘면서 긍정적인 면 또한 부각되고 있습니다.

또한 프리터족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바로 자발적 프리터족과, 비자발적 프리터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예시를 한 번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리터족 뜻, 예시

자발적 프리터족이란 그야 말로 자기가 원해서 자발적으로 프리터족이 된 것인데요. 특정 회사나 조직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면서 본인 스스로 프리터족이 된 케이스입니다.

최근 일본에 아르바이트로만 생계를 유지하며 사는 프리터족이 많이 늘고 있다고 하는데 이러한 일본의 프리터족에는 자발적 프리터족이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비자발적 프리터족이란 자기가 원하지는 않으나 환경, 상황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프리터족이 된 것인데요. 정규직 취업의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환경적 어려움(건강 등) 등의 이유로 본인이 원하지 않게 프리터족이 된 경우입니다.

비자발적 프리터족의 경우 대부분은 경제적인 어려움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회 문제가 되기도 하죠.

프리터족의 유래는?

한편 프리터족이란 말은 언제부터 생겨났을까요? 즉 유래가 어떻게 될까요?

프리터족이란 말은 일본에서 유래하였는데요. 1980년대 후반 일본 경제가 불황에 빠지면서 정규직 채용이 줄고 아르바이트나 임시직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청년층이 늘어나게 되었고 이 때의 청년층을 지칭 하는 말로

‘프리터족’이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로는 일본 사회에서 더욱 많이 사용되면서 우리나라에도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최근 일본, 우리나라에 자발적 및 비자발적 프리터족이 늘어나면서 해당 용어를 더욱 자주 사용하게 된 것이죠.

한편, 프리터족과 함께 자주 검색된 단어로는 ‘일본’, ‘아르바이트’, ‘직장’, ‘사회’, ‘일자리’ 등이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리터족’의 뜻, 유래, 예시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 외에도 다른 신조어가 궁금하신 분들은 신조어 링크를 참고주시기 바랍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 수 21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